교육부 편입제도 개선안 문제있다
 
관리자

언제나 입시철이 되면 교육에 대해 말들이 많다. 우리나라 교육은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학생들은 입시지옥으로 내몰리고 입시시옥에 내몰린 학생들은 밤낮이 없이 입시를 준비하느라 숨도 제대로 못쉰다.

이런 말들은 우리학교 교육의 단면을 표현한 내용이다. 학생들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유명학원들이 밀집해 있는 서울로 옮겨와서 입시준비를 하는게 지금의 현실이고 보니 지방대학들은 학생들이 없어 재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지방대학들의 공동화 현상을 막기 위해 대학 편입학을 2006년도부터 대폭 축소 시킨다는 소식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 3일 전·후기로 나눠 2회 실시되는 대학 편입학을 2006년부터 전기에 한차례로 줄이고 편입학 인원도 교수 확보율에 따라 제한하는 내용의 대학 편입학 제도 개선 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따라서 대학들은 편입학 규모 산정방식이 현행 신입학 미충원 인원 가운데 편입학 이월 학생수에다 전년도 1. 2학년 제적자수에서 전년도 1. 2학년 제적자수를 곱한 교수 확보율에 따른 일정 비율로 바뀌었다.

올해를 기준으로 할 경우 일반 편입학은 3만6천199명, 학사편입학은 6천571명 등 4만2천770명이던 편입학 규모가 3만6천977명으로 5천973명이 줄게 된다.

교육부의 이같은 제도 개선은 편입학 규모가 매년 확대되면서 편입학이 제2입시로 이상과열 현상을 보이는데다 학생들의 연쇄 이동으로 지방대 공동화, 교육의 질 저하, 학사운영 부실화 등이 초래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 편입학 제도 개선에는 납득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미 갖고있는 고질적인 지방대의 경쟁력 부재를 해소하지 않고 교수충원율로 편입학 정원을 산출하는 이 부실한 제도는 결코 편입학 제도를 보완하지 못할 뿐더러 지방대 육성에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학의 편입학으로 그동안 수도권 소재 대학들은 충원율이 높았는지 모르지만 지방대학들은 반대로 신입생도 줄고 제적 학생수도 줄어들어 그만큼 지방 대학들의 재정에 빈곤을 가져왔다는 점을 모르는 것이다.

교육부가 정말 지방 대학들의 공동화 현상을 막고 교육의 질 저하, 학사운영의 부실화를 우려 했다면 수도권의 대학들에 대해 편입학 정원을 일정 제한하고 지방의 대학들은 특성화된 대학으로 육성하면 된다.

만약 편입학을 전국대학으로 확대해서 적용할 경우 그나마 지방 대학들은 신입생 대신 편입생들로 정원을 충원하는 마당에 그나마 편입생들이 줄게되어 재정 상태는 더욱 어려워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교육과 배움에는 끝이 없다는 말을 하듯 지방 대학들을 육성시키려면 특성화된 대학으로 육성하되 지방 대학들에 대한 편입학 규모를 지금보다 더 늘여주고 산업체와 연계하여 대학에서 산업인력을 교육시킬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지방 대학을 육성 시키는 결과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편입으로 인한 재학생의 이탈은 비단 대학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학벌만 중시하는 사회의 구조적 문제가 더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전환과 더불어 정부나 교육부 모두가 인식전환에 앞장설때 지방대학의 문제점들도 해결될 수 있는 문제다.
기사입력: 2003/12/09 [00:00]  최종편집: ⓒ 호남조은뉴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