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죽거리 잔혹사> 전학에서 퇴학까지
 
전창수 기자

아, 그 시기. 그러니까 유신정권의 말기, 아니 말살(?). 무언가 갑갑한데 눈을 뗄 수 없는 저 놈들의 카리스마와 그리고 안타까움.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는 전형적인 로맨틱코미디나 전형적인 학원물의 범주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

그래서, <말죽거리 잔혹사>는 보는 내내 즐거움을 선사하진 못한다. 현수와 우식, 그리고 햄버거와 찍새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암투는 마치, 70년대 말기의 유신정권 시대의 암투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래서, 시대배경도 78년도다. 그뿐 아니다. <말죽거리 잔혹사>는 전형적인 사랑이야기가 아니라 우정으로 귀환함으로서 건전한 사생활까지 유도(?)하고 있다. 그러니까, 그들의 잔혹한 사건들은 청소년기를 관통하는 방황이고, 역동성 있는 희망으로 변환된기도 하는 것이다.

2. 폭력이 권력의 핵심?

<말죽거리 잔혹사>는 결코 폭력을 미화하지 않는다. 그 대신, 조금 더 리얼리티한 액션에 중점을 두고 현수와 찍새간에 벌어지는 최종 액션신에 무게를 둔다. 그래서 그런지, 그들의 눈빛에 살기가 가득하다.

조금만, 잘못하면 사람 죽일 분위기다. 그것이 때로는 마음을 불편하게도 하고, 때로는 그들의 눈빛에 흡수되어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원인이기도 하다. 그 시기, 그러니까 70년대 말기는 실제로 폭력은 권력의 핵심이었다.

잘못된 법인 것만은 분명하다, 아무도 그 법을 바꿀 수가 없다. 폭력이 법이라면 내가 법이 되는 수밖에. 현수는 그렇게 법을 실현한다. 객기가 아니라, 그는 그 법을 실제로 실행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수련하고 끊임없이 기회를 엿본다.

자신이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잘못된 법을 처단하기 위해서. 그래서, <말죽거리 잔혹사>의 최후 액션씬은 더욱 더 빛이 나고,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사랑 때문이어도 좋고, 친구 때문이어도 좋다. 그러니까 현수는 이건 분명 잘못된 것이라는 건 아는데,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 어떻게 고쳐야 하는 것인지 모른다. 자신이 할 수 있는 것. 퇴학을 각오하고 찍새를 처단하는 것.

현수는 현명하다거나 이성적인 사람은 아니다. 그러기엔, 그는 아직 어린 고등학생이다. 고3도 아니다. 그는 고2다. 한참, 방황하는 나이의 그다. 그래서, 그는 이성보다는 감정적으로 판단한다.

때로는 정의가 구현될 수 없는 사회가 있다. 현수는 그것을 감성으로 느낀다. 현수의 미래?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그거 하나만은 분명하다. 현수는 결코 절망적으로 살지 않으리라는 것. 그래서, <말죽거리 잔혹사>는 은근하게 해피하다.

3. 영화와의 경쟁?

70년대나 80년대나 교육방법이 크게 달라진 것 같아 보이진 않는다. 어디를 가든, 짱은 존재한다. 어디를 가든, 모범생도 존재한다. 다양한 개성을 가진 소년들이 저마다의 미래를 향해 조그만 희망을 키우고 있는 곳이 학교다.

그 꿈을 짓밟는 사람들. 때로는, 거대한 권력의 압력이기도 하고, 때로는 주변에 아주 가까운 동료들 혹은 친구들이기도 하다. 보이지 않는 경쟁은 피할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이 과연 바른 경쟁인가?

서로에게 상처만 줄 뿐인 경쟁은 피하는 것이 낫다. <말죽거리 잔혹사>는 재미와 동시에 상처까지 남겨주려 한다. 그것이 <말죽거리 잔혹사>와 나 혹은 우리와의 피할 수 없는 경쟁이다. 아, 죽임보다 더 잔인한 경쟁이어라!

1. 학교에서 배운 것

인생의 일할을
나는 학교에서 배웠지
아마 그랬을 거야

매 맞고 침묵하는 법과
시기와 질투를 키우는 법

그리고 타인과 나를 끊임없이 비교하는 법과
경멸하는 자를
짐짓 존경하는 법

그 중에서도 내가 살아가는 데
가장 도움을 준 것은
그 많은 법들 앞에 내 상상력을
최대한 굴복시키는 법

- 유하, <학교에서 배운 법>


기사입력: 2004/01/11 [00:00]  최종편집: ⓒ 호남조은뉴스
 
  • 도배방지 이미지